[중앙뉴스라인, 김용범기자] 전북연구원은 26일 이슈브리프를 통해 미래산업의 핵심인 데이터산업의 심각한 지역불균형 상황을 진단하고, 이를 타파 할 수 있는 3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원은 ‘데이터경제 시대, 지역주도 데이터 균형발전 이루자’라는 이슈브리핑을 발간하고, 정부의 데이터산업 육성을 위한 입법에 맞춰 지역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균형발전 추진방향을 제안했다.
연구원은 지난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 발표한 ‘2021 데이터산업 현황조사’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국내 데이터산업이 지속적 성장하였지만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의 편중이 80%, 7대 광역시 편중이 75%임을 밝혔다. 따라서 광역도를 중심으로 한 데이터산업의 국가균형발전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전북은 지역 ICT/SW 사업체 가운데 데이터 사업체 비중은 7.3%, 데이터 사업체 대비 공공데이터 공개 건수가 7.61건으로 각각 전국 6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상용차, 특장차, 재생에너지 등 산업데이터의 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LX AI 빅데이터 분석센터, 금융, 소방, 스마트팜 등 분야별 빅데이터센터를 보유하여 전북만의 특성이 반영된 산업데이터 육성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연구원에서는 지역에서도 차별성을 가진 로컬특화데이터를 생성하여 활용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정부가 지역주도 데이터산업의 균형발전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3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첫째, 전북을 5극 3특 광역체계 속 독자적 권역으로 설정하고 전북만의 양질의 로컬 데이터 생성을 위한 정부지원을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윤석열 정부가 추진 예정인 초광역 디지털 혁신거점을 전북에도 지정하고, 전북에서만 산업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상용차, 농기계, 특장차, 식품, 재생에너지 등에 산업데이터 마이닝 허브를 구축해야한다는 의견이다.
둘째, 지역의 산업데이터가 생성, 거래, 활용되기 위해 지역기업의 데이터 전환과 활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지원을 주장했다. 이를 위해 산업디지털 전환 촉진법에 따라 지정된 산업 디지털 전환 협업지원센터를 광역단위 또는 5극 3특 단위에서 설립하고 지역 데이터 유통을 위한 전문 데이터 가치평가기관 등도 지역에 설립될 수 있도록 정부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셋째, 전북의 지속가능한 산업이 되기 위해 지역 산학연이 함께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할 수 있는 지역주도적 데이터산업 혁신생태계 조성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지훈 박사는 “데이터는 미래산업에 있어 핵심자본”이라며, “정부는 데이터 자산에 대한 지역불균형에 관심을 가지고 정부 정책에 반영하여 지역별 특색 있는 데이터자산을 보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자체 의견을 듣고 제1차 데이터 산업진흥 기본계획 등에 지역 데이터산업 육성계획을 포함시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